반응형

요즘 듀얼코어 CPU가 나오면서 듀얼코어 PC를 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듀얼코어 PC를 쓰는 사람들만 할 수 있는 뭔가 특이한 기능은 없을까라는 생각을 해 본 적 없는가 ?

있다. 분명히 있다.

듀얼코어 PC를 쓰면서도 아직 모르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 한번 적어 볼까 한다. <Ctrl> + <Alt> +<Del>키를 누르면 [Windows 작업 관리자]라는 창이 뜬다.

여기에 듀얼코어만의 비밀이 숨어 있다. [프로세스] 텝으로 이동해 보자.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들이 보인다. 어떤 프로그램이 얼마만큼의 CPU를 사용중인지, 얼마만큼의 메모리를 사용 중인지 표시되어 있다. 지금까지는 이 화면에서 주로 먹통이 된 프로그램을 죽이는 작업을 하는 곳으로 사용해 왔을 것이다.

알고보면 이런 기능 외에 다른 작업도 할 수 있다. 특정 프로세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하면 나오는 팝업메뉴에 있는 [우선순위 설정]이라는 기능인데 실시간, 높음, 보통초과, 보통, 보통미만,낮음 등을 선택할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그러나 이 기능은 듀얼코어가 아닌 PC에서도 할 수 있는 작업이다.

그러면 듀얼코어에서만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바로 [선호도 설정]이라는 기능이다.

[선호도 설정]을 클릭해 보자.

[프로세서 선호도]라는 창이 뜬다. 그렇다. 프로세서 선호도 설정은 프로세스가 실행 될 수 있는 CPU를 지정해 주는 기능이다. 듀얼코어 CPU는 하나의 CPU인 것 같지만, 실제로는 안에 코어가 두개 들어가 있다. 뇌가 두개 들어가 있는 사람머리와 같은 식이다. CPU 0과 CPU1 모두에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 시킬 것인지, CPU0에서만 실행시킬 것인지, CPU1에서만 실행시킬 것인지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본은 두 CPU 모두에서 실행되는 것이다.

자, 그럼 테스트 삼아 IEXPLORE.EXE가 CPU1에서만 실행되게 체크를 해 보자. IEXPLORE.EXE는 인터넷익스플로러다.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여러개 떠 있다면 설정에 따라 IEXPLORE.EXE가 여러개 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프로세스 모두를 CPU1만 체크 되어 있게 해줘 보자.

[성능]탭을 클릭해 보면 [CPU 사용 내용]이라는 부분에 녹색 그래프가 그려지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리로드하던가 해서 부하를 주면 위의 그림과 같이 두번째 CPU 코어만 그래프가 치솟는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이런 기능을 왜 쓰고, 어떻게 이용하면 좋을지 생각해 보자. 특정 프로그램때문에 다른 프로그램 작업이 버벅대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 기능이 도움이 될 것 같다. 부하가 큰 프로그램을 실행 시키면서 다른 작업도 쾌적하게 하고 싶을 때 쓰면 좋다.

이 설정은 하이퍼쓰레딩 지원하는 CPU에서도 설정할 수는 있지만, 제대로 효과를 낸다고는 할 수 없다. 제대로 된 효과는 역시 듀얼코어 CPU 하에서 가능하다. 물리적으로 코어가 두개로 분리 되어 있기 때문에 나눠서 일을 할 수 있다. 하이퍼쓰레딩은 무늬만 듀얼이고 진짜 듀얼은 듀얼코어 CPU다.

이 설정은 한번 설정해 놓으면 컴퓨터를 껐다 켜도 계속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껐다가 다시 실행 시키면 원래 설정(두 코어 모두 사용하는 것)으로 되돌아 와 버린다. 잠시 사용하라는 뜻이다.

이런 기능들도 안쓰면 그만이다. 컴퓨터가 원래 그렇다. 빵빵한 성능의 PC를 구입해 놓고 단순 워드프로세서로만 쓰면 이것은 타자기정도밖에 안된다. 최대한 잘 활용해서 본전 톡톡히 뽑아 먹도록 하자. ----- 듀얼코어 씨퓨 갖고싶다.. 지르고 싶다.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싱(Phishing) 식별방법과 대응요령  (0) 2006.10.18
pcsmile  (0) 2006.10.18
인터페이스 (Interface)  (0) 2006.10.15
클럭 / 오버 클럭  (0) 2006.10.15
한국형 OS Windows XP Professional KN  (0) 2006.09.03
반응형
인터페이스 (Interface)용어설명 > 컴퓨터

 인터페이스란, 서로 다른 하드웨어 사이 그리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 소프트웨어와 사용자 사이를 연결해주는 시스템 구성 또는 규격을 말합니다. 사람과 사람이 대화를 하기 위해서는 언어가 같아야 하듯 하드웨어 사이에서도 명령어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통신 수단이 같아야 합니다. 이를 규격화하여 서로 어울리는 하드웨어 사이에 연결하는 시스템을 인터페이스라고 합니다. Serial-ATA, USB, IEEE-1394 등이 대표적인 인터페이스 입니다.

 유저 인터페이스 (UI=User Interface)

 워드프로세서든 게임소프트든 응용소프트웨어나 운영체제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에게 접근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유저 인터페이스라 하며 이것이 불편할수록(특히 게임) 사용자에게 외면받기 쉽습니다. 유저 인터페이스는 크게 CUI와 GUI 방식이 있습니다.

<Character User Interface>

 CUI 방식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DOS 운영체제를 들 수 있습니다. CUI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문자를 이용해소프트웨어를 사용하도록 이루어져 있습니다. 구성이 단순하고 인터페이스를 이루는데 소요되는 자원이 적게 들지만 그 만큼 단조롭기 쉽고 초보자가 접근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Graphic User Interface>

 GUI 방식은 CUI와 다르게 그림으로 만들어진 명령어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됩니다. 사용자는 프로그램에게 그림을 이용해 명령을 내리고 그림으로 화답을 받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입니다. CUI에 비해 초보 사용자가 접근하기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문자에 비해 그림은 시스템 자원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사양 컴퓨터를 필요로 하고 제작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출처 : 다나와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smile  (0) 2006.10.18
듀얼코어 PC에서만 되는 재미있는 기능  (5) 2006.10.17
클럭 / 오버 클럭  (0) 2006.10.15
한국형 OS Windows XP Professional KN  (0) 2006.09.03
URL Snooper 2 v2.13.04  (0) 2006.08.21
반응형
클럭 / 오버 클럭용어설명 > 컴퓨터

클럭(Clock)

클럭은 시피유나 메모리와 같은 반도체에게 동작을 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모든 반도체 사이에 동기화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흔히 동작 속도, 클럭 속도, 클럭 스피드 등으로 부르고 있으며 주파수 단위인 헤르츠(Hz)를 사용합니다.

메인보드의 노스/사우스 브릿지, RAM, CPU와 같은 반도체는 스스로 동작하지 못하며 외부에서 신호를 받아야지만 비로소 동작을 합니다. 신호 발진기(클럭 제너레이터=Clock Generator)는, 크리스탈이 전기적인 자극을 받으면 진동하는 원리를 이용한 소자입니다. 크리스탈이 진동을 하면 클럭 펄스라는 주기적인 신호가 만들지는데 이를 이용하여 반도체가 일정하게 동작하게끔 유도하는데 사용합니다.

그러나 신호 발진기는 한 종류의 클럭 속도만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때문에 다른 클럭 속도를 필요로하는 반도체에게 클럭 속도를 조정해주어야 하는데 이 때 사용하는 장치를 디바이더라고 부릅니다. (왼쪽 그림 '½')

오버 클럭 (Over-Clock)

각기 칩에는 1초에 동작할 수 있는 속도에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PC-3200 메모리 동작 속도가 400MHz라고 적혀있는데 이는 400MHz까지 안전하게 동작한다는 보증으로 400MHz가 한계치라는 뜻 입니다. 이 한계치를 벗어난 속도가 동작할 때 오버 클럭이 되었다고 합니다. 오버 클럭은 한계를 초과한 동작이기에 정상 상태보다 많은 열이 발생하며 수명 단축을 초래하고, 심할 경우 타거나 칩 배선이 단선되어 망가지는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특히 그래픽 카드 제조사가 고의적으로 메모리 클럭 속도를 한계 속도보다 낮게 설정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는 사용자가 한계 클럭으로 올렸다 하더라도 오버 클럭이라고 부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한계 클럭을 넘어섰을 때야 오버 클럭 했다고 표현하는 것이 의미에 부합될 것 입니다. 출처 다나와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듀얼코어 PC에서만 되는 재미있는 기능  (5) 2006.10.17
인터페이스 (Interface)  (0) 2006.10.15
한국형 OS Windows XP Professional KN  (0) 2006.09.03
URL Snooper 2 v2.13.04  (0) 2006.08.21
삭제된 데이터 복구 유틸  (0) 2006.08.15
반응형
Windows XP Professional KN


대한민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Windows XP Professional KN은 Windows Media Player, Windows Messenger 그리고 Media Player Center 웹 사이트 및 Messenger Center 웹 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면 Windows XP Professional K와 기능이 동일합니다. 향상된 보안 기술을 포함한 Windows XP 서비스 팩 2의 최신 업데이트를 기반으로 하며, Windows XP Professional K와 마찬가지로 Windows 98보다 뛰어난 신뢰성을 갖고 있어 보다 많은 일을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및 보안 기능 향상: 고급 네트워킹을 사용하여 프린터와 파일을 공유하고 원활한 네트워크 관리 및 지원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방식으로 탐색: Internet Explorer 팝업 차단 기능으로 원하지 않는 광고를 줄이고 다운로드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뛰어난 랩톱 지원: 오프라인 파일 액세스 기능을 사용하여 원하는 장소에서 파일을 작업한 후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있는 파일과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기능 이외에 Windows XP Professional KN과 Windows XP Professional K의 공통된 기능에 대해 알아 보려면 Windows XP Professional K 웹 페이지,
http://www.microsoft.com/korea/windowsxp/pro/를 방문하십시오.


Windows XP Professional KN과 Windows XP Professional의 차이점


Windows XP Professional KN은 Windows Media Player, Windows Messenger 또는 Media Player Center 웹 사이트 및 Messenger Center 웹 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면 Windows XP Professional K와 기능이 동일합니다. 기타 자주 제기되는 질문 사항도 이 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사용하려면 Microsoft 또는 타사의 미디어 플레이어가 필요합니다.




























오디오 CD 재생


비디오 파일 재생


웹 사이트에서 인터넷을 통해 비디오 스트리밍


오디오 CD 만들기


미디어 파일 속성 보기


개인용 음악 플레이어로 음악 파일 전송


오디오 CD 만들기(CD 굽기)


음악 재생 목록 만들기




























.wav 파일 이외의 음악 파일 재생


웹 사이트에서 인터넷을 통해 음악 스트리밍


MIDI 파일 재생


개인용 비디오 만들기


미디어 파일 앨범 아트 보기


오디오 CD에서 PC로 음악 복사(CD 리핑)


앨범, 아티스트 및 제목 정보를 사용하여 라이브러리에서 음악 및 비디오 관리


SAMI 기술을 사용하여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을 지원하는 선택 캡션 보기


다음과 같은 기능을 사용하려면 Microsoft 또는 타사의 인스턴스 메시징 소프트웨어가 필요합니다.



















컴퓨터에서 문자, 음성 및 비디오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에게 인스턴스 메시지 보내기


친구, 동료 및 가족 그룹별로 인스턴스 메시징 연락처 구성 그룹에 연락처 추가 및 편집


내장 화이트보드 기능을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고 절차를 보여 주는 등 실시간 회의 기능 강화


인스턴스 메시징을 사용하여 파일 전송


웹 사이트를 함께 볼 수 있는 인스턴스 메시징을 사용하여 친구, 가족과 함께 인터넷을 탐색
















대화 상대가 로그인하면 알려주기


인터넷을 통해 선택한 대화 상대와 응용 프로그램 제어 공유


웹 캠을 통한 비디오 메시징을 사용하여 영상 대화


PC 마이크와 스피커를 사용하여 인터넷으로 대화


컴퓨터 제조업체에서 Windows XP Professional KN을 실행하는 컴퓨터에 타사 미디어 플레이어나 인스턴스 메신저를 미리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와 별도로 고객이 Microsoft 또는 타사의 미디어 플레이어나 인스턴스 메신저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위에서 설명한 특정 기술에 의존합니다. 이러한 예에는 Microsoft® Office, Microsoft® Encarta® 및 Microsoft® FrontPage®의 미디어 기능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최종 사용자가 Windows Media Player Windows Messenger 및 Media Pack for Windows XP Professional KN을 설치하면 올바로 작동됩니다.

여러 웹 사이트에서 이 버전의 Windows에 포함되지 않은 미디어 파일을 사용합니다. 최종 사용자는 Windows Media Player를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웹 사이트가 올바로 작동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개인적인 생각으로 한국형이라 편할것 같지만 웬지 더 불편할것 같은데...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페이스 (Interface)  (0) 2006.10.15
클럭 / 오버 클럭  (0) 2006.10.15
URL Snooper 2 v2.13.04  (0) 2006.08.21
삭제된 데이터 복구 유틸  (0) 2006.08.15
원격제어, 컴퓨터 원격A/S, 파일전송, 설치 "iR 원격제어" v1.2  (0) 2006.05.13
반응형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간단한 설정을 한 뒤, 웹브라우저를 실행하고 URL Snooper을 실행한 다음 URL을 알아낼 사이트로 이동하면 URL Snooper이 해당 사이트에 속한 URL 목록을 추출하여 보여줍니다. 항목을 선택하면 하단에 URL을 보여주어 이를 복사하고 다운로드 관리자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붙여넣고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마저 금지해 놓은 경우라면 다운로드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는 다운로드를 받지 못하게 해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URL Snooper는 숨겨진 URL 주소를 알아내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반응형
흠..







실수로 지워버린 파일..







복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