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글에서 퍼왔습니다.







사용자의 웹사이트 URL 제거

사이트 일부, 또는 전체를 구글이 수집 못하게 하시려면 다음의 내용을 지닌 robots.txt파일을 서버 루트(root) 디렉토리에 저장하세요:

User-Agent: *



Disallow: /

이것은 사이트를 검색기에서 제외하는 표준입니다. 다음의 문서를 참조하시면 이 표준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가 있습니다 (영문 문서입니다): http://www.robotstxt.org/wc/norobots.html

참조: 만약 긴급하게 하는 요청이고, 구글의 자동 검색 로봇을 못 기다리시면 구글의 자동 삭제 시스템을 사용하세요. 먼저 해당하는 페이지의 관리자가 사이트에 robots.txt 파일을 저장해야 결과에서 자동적으로 링크를 지우는 이 기능이 올바르게 작동합니다.

웹 서버의 루트(root) 디렉토리에 robots.txt 파일이 저장돼 있으면 페이지들은 계속 구글의 검색 결과에서 제외됩니다. 또한, 루트 디렉토리에 사용자 권위가 없으시더라도 robots.txt 파일을 해당하는 폴더에 저장하면 됩니다. 자동 제외 시스템을 같이 사용하시면 임시적인 180일 동안 구글 검색에서 제외됩니다. (하지만, 루트 폴더가 아닌, 다른 곳에 저장한 상태이면 180일마다 또다시 자동 제외 시스템을 사용하셔야 계속 제외됩니다.)









각각의 페이지 삭제

모든 검색 로봇을 막으시려면 다음의 메타 테그(meta tag)를 HTML페이지에 포함하세요: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 NOFOLLOW">

구글 로봇을 제외한 다른 검색 로봇을 허용하시려면 다음의 메타 태그를 사용하세요:

<META NAME="GOOGLEBOT" CONTENT="NOINDEX, NOFOLLOW">

이 표준 메타 태그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시면 다음 페이지를 방문하세요: http://www.robotstxt.org/wc/exclusion.html#meta.

참조: 만약 긴급하게 하는 요청이고, 구글의 자동 검색 로봇을 못 기다리시면 구글의 자동 제외 시스템을 사용하세요. 먼저 해당하는 페이지의 관리자가 페이지의 HTML 안에 올바른 메타 태그를 입력해야 이 시스템의 기능이 작동합니다.









사이트 내용의 제거

구글 검색 결과에는 URL 내용을 보여드립니다. 나타나는 검색어들을 bold체로 보기 쉽게 하고, 문맥으로 내용을 파악하실 수 있게 해드립니다. 이렇게 내용을 미리 볼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찾을 수 있게 해 드립니다.







구글이 자신의 페이지를 보지 못하도록 하고 싶다면 다음 태그를 사용하세요:

<META NAME="GOOGLEBOT" CONTENT="NOSNIPPET">

참고: 삭제할 때에는 저장되어 있던 페이지도 삭제됩니다.

참조: 만약 긴급하게 하는 요청이고, 구글의 자동 검색 로봇을 못 기다리시면 구글의 자동 제외 시스템을 사용하세요. 먼저 해당하는 페이지의 관리자가 페이지의 HTML 안에 올바른 메타 태그를 입력해야 이 시스템의 기능이 작동합니다.









저장된 페이지의 제거

구글은 수집한 모든 문서들을 저장해둡니다. 구글은 저장된 문서를 사용자들을 위해 제공하고, 무슨 이유로 사이트에 접속이 불가능하면 구글의 저장된 페이지를 사용하여 구글이 수집했던 당시의 모습 그대로 볼 수 있습니다. 저장된 페이지는 위 부분에 원본이 아닌 복사된 내용임을 설명하는 메시지가 있습니다.





만약 로봇이 귀하의 사이트에서 내용을 수집 못하게 하고 싶다면, NOARCHIVE 메타 태그를 사용하세요. 이 태그는 문서의 부분에 다음과 같이 배치 하세요.

<META NAME="ROBOTS" CONTENT="NOARCHIVE">

만일 목록을 붙이는 다른 로봇들이 사용자의 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수집하는 것을 허락하고, 단지 구글의 로봇들이 페이지를 저장하는 것을 막고 싶으시다면, 다음 태그를 사용하세요.:

<META NAME="GOOGLEBOT" CONTENT="NOARCHIVE">

참조: 이 태그는 페이지에서 단지 저장된 페이지만 삭제합니다. 구글은 계속해서 페이지를 색인하고 그 일부 내용을 보여줍니다.

참조: 만약 긴급하게 하는 요청이고, 구글의 자동 검색 로봇을 못 기다리시면 구글의 자동 제외 시스템을 사용하세요. 먼저 해당하는 페이지의 관리자가 페이지의 HTML 안에 올바른 메타 태그를 입력해야 이 시스템의 기능이 작동합니다.









오래된 링크(대드 링크) 삭제

구글은 정기적으로 새롭게 웹 페이지를 수집합니다. 구글은 웹을 색인하며 새로운 페이지를 찾고, 삭제 된 링크는폐기하고, 링크를 자동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접속과 연결이 안 되는 링크는 색인에서 없어집니다.

참조: 만약 긴급하게 하는 요청이고, 구글이 다음번에 사용자의 사이트를 색인 할 때까지 기다릴 수 없다면 저희의 자동 URL 삭제 시스템을 사용하세요. 저희는 웹상에 페이지가 더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만 사용자의 삭제 요청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이미지 삭제

만약 사용자가 구글의 이미지 검색에서 결과 내용을 삭제하셔야 한다면, 그 사이트의 웹 마스터의 참여가 있어야 합니다. 페이지의 웹 마스터에게 robots.txt 파일을 서버의 root에 추가하도록 해주세요. (만약 그것을 서버 루트(root)에 넣을 권리가 없다면 그것을 해당하는 디렉토리 부분에 넣을 수 있습니다.)

예시: 만일 사용자의 사이트가 www.yoursite.com/images/dogs.jpg 이고 구글이 그 사이트에서 수집한 dogs.jpg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기를 바라신다면,

사용자는 www.yoursite.com/robots.txt 라고 불리는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 파일 안에는 다음 텍스트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

User-Agent: Googlebot-Image



Disallow: /images/dogs.jpg

저희의 목록에서 사용자의 사이트에 있는 모든 이미지를 삭제하려면 사용자의 서버 root에 다음 robots.txt 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User-Agent: Googlebot-Image



Disallow: /

웹 마스터가 이 파일을 추가한 후에는googlebot@google.com로 그 사실과 그 파일의 위치에 대한 메모를 보내주세요. 저희는 48시간 내에 그 이미지를 삭제해 드릴 것입니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casa  (0) 2006.03.17
zdnet의 구글 기사  (0) 2006.02.17
피드한것이 깨질때.  (1) 2006.02.17
구글 애드센스를 달아보자.  (0) 2006.02.17
각종 메일 아이콘 만들어 주는 사이트  (0) 2006.02.16
반응형
UTF-8 인코딩(기본값)은 [ {0}.xml?enc=utf-8 ],



EUC-KR 인코딩은 [ {0}.xml?enc=euc-kr ]







올블로그를 피드하다가 깨지길래 살펴보니 위처럼 하니 정상적으로 나오더군요







그니까 http://homepage.com/rss.xml?enc=utf-8







http://homepage.com/rss.xml?enc=euc-kr







이 정도로..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casa  (0) 2006.03.17
zdnet의 구글 기사  (0) 2006.02.17
구글이 사이트 수집못하게 막기  (1) 2006.02.17
구글 애드센스를 달아보자.  (0) 2006.02.17
각종 메일 아이콘 만들어 주는 사이트  (0) 2006.02.16
반응형
먼저 여기를 클릭하여 구글 애드센스로 갑니다.



















가볍게 웹사이트 소유자 구글애드센스를 눌러줍시다.



































































계정이 없으신 분은 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하시고 하세요.



가입은 어느 분도 하실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







광고를 달려면 콘텐츠를 위한 애드센스를 클릭합니다.



검색바를 달려면 검색을 위한 애드센스를 클릭하시면 되구요.







광고를 달아보겠습니다.























































흠 전 문자 및 이미지 광고를 선택하겠습니다.



각자 홈페이지 분위기에 알맞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여기는 광고 크기를 설정하는 곳입니다.



단위는 픽셀입니다.







































































여기서는 광고 색상을 지정합니다.



컬러 팔레트 관리에서 자신의 색상을 지정하실수 있습니다.











여긴 별 필요 없는 사항입니다. 넘어갑시다.















채널은 광고할 분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신의 홈페이지 주제에 맞게 설정하시면 되겠습니다.







































프레임이 있는 페이지에 광고가 실릴경우 체크해줍니다.















자..코드가 나왔네요...



이코드를 원하는 부분에 붙여넣으면 됩니다.











































































































































네......됬습니다..







방문객이 광고를 클릭하다보면 돈이 쌓이죠.. 달러로







그게 100달러가 모이면 집으로 수표가 날라옵니다..







화이팅!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casa  (0) 2006.03.17
zdnet의 구글 기사  (0) 2006.02.17
구글이 사이트 수집못하게 막기  (1) 2006.02.17
피드한것이 깨질때.  (1) 2006.02.17
각종 메일 아이콘 만들어 주는 사이트  (0) 2006.02.16
반응형

여기를 클릭하셔서 들어가봅시다.







무단 수집을 막기위한 방법의 하나이죠..







뭐....뽀대도 나보이고..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casa  (0) 2006.03.17
zdnet의 구글 기사  (0) 2006.02.17
구글이 사이트 수집못하게 막기  (1) 2006.02.17
피드한것이 깨질때.  (1) 2006.02.17
구글 애드센스를 달아보자.  (0) 2006.02.17
반응형

Base64는 메일을 주고 받을때 쓰이는 인코팅 방식입니다.







프로그래밍은 루나씨가 해주셨습니다.











사용방법은







먼저 C땡에 압축을 풉시다.







시작-실행 cmd







그럼 cd\를 입력하여 루트 디렉토리로 갑니다.







거기서 base64를 입력합니다.







기본 명령어를 보실수 있습니다.







인코딩은 base64 -e 인코딩할 문자 ex)길동이바보







디코딩은 base64 -d 디코딩할 암호화된 문자 ex)sea1v8DMudm6uA==







참고로 인코딩은 암호화 디코딩은 복호화입니다.
반응형

먼저우측하단에 보시면 스피커 모양이 있습니다.. 가볍게 더블클릭~~



그런 다음 옵션으로 가봅시다.







속성 눌러줍시다.







녹음을 클릭하시고







보시면 스테레오 믹스라고 있습니다.







시스템에 따라 그냥 스테레오라고 표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확인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뜹니다.



그럼 스테레오 (믹스) 에 체크 해주시면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