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salpha()

 함수형태 

 isalpha(int c)

 파라미터

 c − 확인할 문자(ASCII)

 리턴

 0 != c가 알파벳, 0 = c는 알파벳이 아님




isdigit()

 함수형태 

 isdigit(int c)

 파라미터

 c − 확인할 문자(ASCII)

 리턴

 0 != c가 숫자, 0 = c는 숫자가 아님




	CString strTest = _T("ABCDEFG01234");
	if (isalpha(strTest[2]))
	{
		// true
		// ...
	}
	else
	{
		// false
		// ...
	}
	if (isdigit(strTest[7]))
	{
		// true
		// ...
	}
	else
	{
		// false
		// ...
	}


반응형

4월 Windows 업데이트 이후 디스크 목록에 800MB짜리 OEM 파티션이 보이기 시작했다.


보여도 상관없긴 하다만, 해당 디스크에 저장공간이 부족하다고 자꾸 알림이 떠서 숨기기로 하고 찾아봤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명령 프롬프트 실행 (시작 - 실행 - CMD)


2. diskpart


3. list volume


4. select volume 지우고자 하는 드라이브 볼륨번호 (ex. 2)


5. remove letter 지우고자 하는 드라이브 문자 (ex. H)



반응형

VMware업데이트 하고 나서 기존 vm이미지를 실행하니


Version mismatch with vmx86 driver ...


이런 오류가 발생했다.


구글링 해보니 system32/driver 폴더의 vmx86.sys 파일을 지우고 재부팅 해보라는데


사용중이라고 삭제가 안된다.



vmware 재설치 하려고 삭제를 눌렀더니 repair 옵션이 보이길래 repair 진행하고 재시작 하니 다시 실행이 되어진다.


아마 업데이트 하면서 문제가 있는듯..





반응형

VisualStudio가 설치된 환경에서 프로그램 실행 후 발생된 문제를 디버깅할 때 덤프파일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된다.


물론, 브레이크포인트 걸어서 추적하는 방법이 가장(?) 빠를테지만, 디버깅 상태로 실행된 경우가 아닌경우에는 덤프파일로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일단 프로그램에서 크래쉬가 나거나, Leak등이 발생해서 프로그램이 종류될때, 덤프파일(*.dmp)이 생성되도록 코드를 추가해야한다. 


이부분은 구글링으로 손쉽게 찾을 수 있다. (키워드 : miniDump)



pdb파일은 프로젝트 설정에서 생성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프로젝트 속성- 링커 - 디버깅 탭에서 '디버그 정보 생성' ,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파일 생성' 부분만 변경하면 된다.



반응형

코드를 짜다 보면 빈줄을 정리하고자 할때가 자주 있다.


여려명이 작업한 코드를 Merge한다거나, 외부 소스를 사용한 경우, 테스트를 마치고 최적화 단계, 그냥 빈줄이 너무 많아 보기 싫어서..


한두줄이면 그냥 지우는데 10줄이 넘어가면 슬슬 지루하고 짜증이 나기 마련..


찾아보니 간단한 정규식으로 빈줄만 삭제가 가능하다.



VisualStduio에서 찾기 및 바꾸기 (단축기 Ctrl + Shift + F)

^(?([^\r\n])\s)*\r?$\r?\n


찾을 내용에 위 문자열을 넣고 바꿀내용은 비워둔 상태에서 정규식 사용에 체크하고 사용하면 된다.


찾는 위치를 선택영역 또는 현재문서로 한정해서 사용해야한다. 


보통 이 항목이 전체 솔루션으로 되있는데 이상태에서 모두 바꾸기를 해버리면 리소스 파일까지 바꿔버리니, 꼭 선택영역이나 현재문서로 한정해서 사용하자.


선택영역은 말그대로 빈줄을 삭제할 영역을 블록 씌운 상태에서 해당 선택 내용안에서만 찾겠다는 거다.


VisualStudio 2013에서 잘 작동한다.


출처 : http://kjcoder.tistory.com/632 


반응형

알파벳 대소문자, 숫자를 포함한 랜덤한 문자열을 생성하는 함수

 

 

출처는 StackOverflow

void gen_random(char *s, const int len)
{
	static const char alphanum[] =
		"0123456789"
		"ABCDEFGHIJKLMNOPQRSTUVWXYZ"
		"abcdefghijklmnopqrstuvwxyz";

	for (int i = 0; i < len; ++i) {
		s[i] = alphanum[rand() % (sizeof(alphanum) - 1)];
	}

	s[len] = 0;
}

 

 

여기에 문자 중복이 안되게끔 하거나, 특수문자를 추가하는 방법도 고려해봐야겠다.

 

 

+ Recent posts